본문 바로가기
플러스AI

2월 4일 오픈AI 샘 알트만 방한, 누굴 만나나?

by 플러스AI 2025. 2. 3.

샘 알트만 오픈AI CEO가 2025년 2월 4일 한국을 방문할 예정입니다. 이번 방문은 알트만 CEO의 세 번째 한국 방문으로, 주요 일정은 개발자 워크숍 '빌더 랩' 참석하는 것이지만 국내 기업 중 어디와 협력하게 될지 주목되는 상황입니다.

 

 

샘알트먼 방한 썸네일

 

주요 일정 


1. 개발자 워크숍 '빌더 랩' 참석

- 서울 플라자호텔에서 국내 기업 및 스타트업 개발자 100명을 대상으로 비공개 워크숍 개최

2. 카카오와의 협력 발표

- 카카오 정신아 대표와 만나 AI 분야 협력 관계 발표 예정

- 카카오의 AI 서비스 '카나나'에 오픈AI 모델 활용 가능성 논의

3. 주요 기업인과의 회동

-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AI 협력 방안 논의

- 삼성전자 경영진과 회동 예정

 

카카오와의 협력 및 관계 

 

1. 협업 발표 예정

양사는 2025년 2월 4일 서울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카카오의 AI 전략 발표회에서 공식 파트너십 체결을 발표할 계획입니다. 이는 카카오의 AI 서비스 '카나나'에 오픈AI 모델을 통합하기 위한 협력으로, 모델 오케스트레이션 전략을 통해 최적화된 AI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

2. 사전 협의 완료

알트만 CEO와 정신아 대표는 행사 전 이미 협의를 마쳤으며, 이번 방한 기간에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공개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카카오 측은 "확인할 내용이 없다"고 공식 부인했으나, 주가가 협력 소식에 9% 상승하는 등 시장의 기대감이 반영되었습니다.

3. 전략적 시너지

카카오는 자체 LLM 개발 대신 외부 모델을 조합하는 방식을 채택 중인 만큼, 오픈AI의 챗GPT를 '카나나'에 적용해 초개인화 AI 서비스를 강화할 계획입니다. 아시아 시장 진출을 위한 공동 개발도 논의 중입니다.

 

SK그룹과의 협력 및 관계 


1. 퍼스널 AI 어시스턴트 개발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알트만 CEO에게 글로벌 AI 비서 서비스 공동 개발을 제안했습니다. SK텔레콤의 '에이닷'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통신사 특화 LLM과 오픈AI 기술을 결합해 글로벌 시장에 확장하는 방안을 논의 중입니다.

2. 반도체 협력 가속화

SK하이닉스와는 고대역폭메모리(HBM) 개발 및 공급 계획을, 삼성전자와는 AI 칩 파운드리 협업을 논의했습니다. 알트만 CEO는 SK의 오프라인 데이터(위치 정보, 앱 사용 기록 등)와 오픈AI의 기술 결합을 통해 서비스 질 향상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3. 빈번한 교류

최태원 회장은 2024년 1월과 6월에 걸쳐 알트만 CEO와 한국과 미국에서 만난 바 있으며, 이번 방한에서도 1박 2일 일정을 연장하며 협력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했습니다.

 

친분 및 사적 관계 


카카오

정신아 대표와의 공식 회동은 이번이 처음이지만, 양사의 전략적 이해관계가 일치하며 기술적 시너지가 큰 것으로 평가됩니다. 사적 친분보다는 비즈니스 중심의 동반자 관계로 보입니다.

SK그룹

최태원 회장과 알트만 CEO는 반도체 및 AI 분야에서 전략적 신뢰 관계를 구축 중입니다. SK그룹의 글로벌 네트워크(도이치텔레콤, 싱텔 등)와 오픈AI의 기술력 결합을 통해 시장 지배력을 확대하려는 목표가 있습니다.

 

방문 목적 및 주목할 점 


중국 견제

알트만 CEO는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의 성능을 "새롭지 않다"고 평가하며, 한국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중국 견제와 기술 선점을 꾀하고 있습니다.

한국 지사 설립 가능성

오픈AI는 일본·싱가포르에 이어 한국 지사 설립을 검토 중이며, 산업은행과의 데이터센터 협력 논의도 진행 중입니다.

AI 산업 협력 강화

한국 기업들과 AI 분야에서의 협력 방안 모색

반도체 산업 논의

SK하이닉스, 삼성전자와 AI 칩 관련 논의 가능성 AI 전용 디바이스 및 반도체 개발 계획과의 연관 가능성도 있습니다.

 

맺음말 


샘 알트만 오픈AI CEO의 이번 한국 방문을 통해 오픈AI와 한국 기업들 간의 AI 분야 협력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카카오와의 파트너십 발표와 반도체 기업들과의 논의는 한국의 AI 및 반도체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카나나, 카카오톡과 어떻게 다르지? | 차이점

 

카나나, 카카오톡과 어떻게 다르지? | 차이점

카나나와 카카오톡은 같은 회사(카카오)에서 만든 서비스이지만, 그 목적과 기능에 있어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주요 차이점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1. 기본 목적- 카카오톡: 주로 사람들 간

gongyu.tistory.com

카카오AI '카나나' | 뜻 기능 특징

 

카카오AI '카나나' | 뜻 기능 특징

카카오의 카나나(Kanana)는 2024년 10월 공개된 통합 AI 브랜드로, "가장 나다운 AI"를 표방하며 대화의 맥락과 감정을 이해하는 초개인화 AI 서비스입니다. 카카오톡과 별도의 앱으로 운영되며, AI 메

gongyu.tistory.com

메타(Meta), 딥시크(DeepSeek)에 '워룸(War Room)'으로 대응

 

메타(Meta), 딥시크(DeepSeek)에 '워룸(War Room)'으로 대응

메타(Meta)가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의 기술을 분석하고 대응하기 위해 특별 태스크포스를 꾸렸다는 소식입니다. "워룸(War Room)" 설치가 그것인데, 워룸이 무엇인지 뜻과 함께 구성, 목표,

plusai.tistory.com

딥시크(DeepSeek)와 주요 플랫폼 비교 | OpenAI O1, Google AI Gemini, Microsoft Azure AI

 

딥시크(DeepSeek)와 주요 플랫폼 비교 | OpenAI O1, Google AI Gemini, Microsoft Azure AI

2023년에 설립된 중국의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AI 기술 분야에서 빠르게 주목받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딥시크 세 번째 편으로 주요 AI 플랫폼인 OpenAI O1, Google AI Gemini, Microsoft Azure AI와 딥

plusai.tistory.com

딥시크(DeepSeek) 모델 종류와 성능 특징 | V3 R1 R1-Distill

 

딥시크(DeepSeek) 모델 종류와 성능 특징 | V3 R1 R1-Distill

2023년에 설립된 중국의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AI 기술 분야에서 빠르게 주목받고 있습니다. 딥시크의 모델 종류와 성능 특징 알아봅니다. 딥시크-V3, R1, R1-Distill 시리즈가 각각 어떻게 다

plusai.tistory.com

중국의 AI 혁신 기업 딥시크(DeepSeek)

 

중국의 AI 혁신 기업 딥시크(DeepSeek)

중국의 AI 스타트업 딥시크가 최근 공개한 대규모 언어 모델(LLM)이 전 세계 AI 업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습니다. 특히 딥시크-V3와 R1은 성능과 효율성 면에서 기존 AI 업계를 위협하는 수준에

plusai.tistory.com

샘 알트만(올트먼)의 딥시크 쇼크 '오픈AI, 오픈소스 전략 재고한다'

 

샘 알트만(올트먼)의 딥시크 쇼크 '오픈AI, 오픈소스 전략 재고한다'

오픈 AI 샘 알트먼이 중국 AI 딥시크 쇼크로 오픈AI의 오픈소스 전략을 재고하려 한다는 소식입니다. 딥시크가 얼마나 위협적이길래, AI 1등 주자 오픈AI가 휘청이는 걸까요? 재고의 배경과 향후 전

gongyu.tistory.com

퍼플렉시티(Perplexity) 프로, "딥시크(DeepSeek)를 품다"

 

퍼플렉시티(Perplexity) 프로, "딥시크(DeepSeek)를 품다"

검색할 것이 있어 퍼플펙시티(Perplexity)에 접속했다. 그런데, 뜨아! 질문 창 하단에 '딥시크 R1을 시도해 보세요'라는 문구가 뜨는 게 아닌가? 이거 뭐지? 딥시크(DeepSeek)? 딥시크가 퍼플에 들어왔어

gongyu.tistory.com

중국 AI 딥시크(DeepSeek), "사이버 공격으로 신규 등록 중단"

 

중국 AI 딥시크(DeepSeek), "사이버 공격으로 신규 등록 중단"

미국 AI 시장을 달군 중국 AI 기업 딥시크(DeepSeek)가 디도스(DDoS)로 추정되는 사이버 공격을 당했다는 소식입니다. 2025년 1월 27일 딥시크는 대규모 악의적 사이버 공격을 받았으며, 이로 인해 신규

gongyu.tistory.com

트럼프의 AI 정책 'Stargate(스타게이트)와 일론 머스크, 샘 알트먼의 충돌

 

트럼프의 AI 정책 'Stargate(스타게이트)와 일론 머스크, 샘 알트먼의 충돌

트럼프 대통령의 야심찬 AI 정책, 'Stargate(스타게이트)' 프로젝트가 실리콘밸리 거물들 사이에서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일론 머스크와 샘 알트만이 공개적으로 충돌한 것이 그것인데,

gongyu.tistory.com